이번 시간에는 Unity에서 다국어 지원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국어 지원이란, 하나의 게임이 여러 언어로 플레이할 수 있도록 번역 및 현지화된 인터페이스, 텍스트, 음성 등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국어 지원은 게임 개발자들이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전 세계의 플레이어들을 대상으로 게임을 제공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를 통해 더 많은 사용자에게 접근 가능성을 제공하며, 게임의 글로벌 시장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른 언어들에서는 String Table,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지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에 알아볼 Unity에서의 다국어 지원은 Unity 패키지인 Localization 입니다.
https://docs.unity3d.com/Packages/com.unity.localization@1.0/manual/index.html
About Localization | Localization | 1.0.5
About Localization Use the Localization package to configure localization settings for your application. Add support for multiple languages and regional variants, including: String localization: Set different strings to display based on locale. Use the Sma
docs.unity3d.com
먼저 유니티를 버전에 상관없이 새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패키지 매니저를 통해 Localization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Localization Active Setting Create
이제 빌드 세팅에서 Localization Settings를 생성해보겠습니다.
저는 Korean(국문), English(영문) 두가지의 다국어 지원을 이용해보겠습니다.
이제 테이블 생성이 완료되었습니다. 해당 Table을 Excel Export할 수있고, 이를 게임 화면 내에서 다국어 지원이 가능할 수있는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되었다고 볼 수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순서대로 Localization을 적용해 볼 수 있습니다.
적용 순서
1. Localization Scene Controls 창에서 Track Changes 체크
2. 그다음 Localization을 적용시킬 컴포넌트의 속성을 변경 (여기서는 TextMeshProUGUI)를 변경
3. 그러면 Table에 씬이름/Hierarchy 구조의 게임오브젝트 이름으로 Table Key가 생성됩니다.
4. 이때 각 지원하는 언어를 Table에 지정해주면 Localization이 적용됩니다.
5. 또 는 Table Key를 먼저 지정하고 적용시킬 수있습니다.(이는 다음 시간에 적용해보도록해요.)
※ Table Key란? Localization이 적용된 테이블의 고유 키값으로 각 Localization의 식별자가 된다고 볼 수있습니다.
※ Track Changes가 켜져있는 상태로 컴포넌트의 속성이 변경될 시 해당 컴포넌트(RectTrnasform) 등 도 변경될 수 있습니다.
'Un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ty Addressable Asset (3) (3) | 2024.12.29 |
---|---|
Unity Addressable Asset (2) (0) | 2024.12.27 |
Unity Addressable Asset (1) (1) | 2024.12.15 |
Unity Lighting (2) (4) | 2024.12.03 |
Unity Lighting (2) | 2024.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