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 4

C# 델리게이트(Delegate) in Unity

오늘 시간에는 Delegat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먼저 Delegate가 무엇인지에 대해 이해해야 되는데요 아래와 같습니다. Delegate란 번역해보면 대리자라는 의미입니다. Unity에서는 함수 포인터라는 개념으로도 많이 사용됩니다. 메서드 자체를 인자로 넘겨주어 전달받은 곳에서 대리로 해당 메서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C#에서 delegate 기본형식은 아래와 같습니다delegate 반환형 델리게이트명(인자);delegate int Add(int parameter1, int parameter2);이미지를 확인해 보면 delegate를 이용하여 Sum 함수를 호출한 것과, 단순호출한 것에 결과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delegate를 사용하는 것일까요?  Delegate의 ..

Unity 2025.01.29

Unity Runtime Memory 관리 - 1

이번 게시글에서는 Unity의 Memory 관리에 대해서 조금 알아보려고 합니다. 주제를 정하게 된 배경이 주제를 정하게 된 배경에 대해 적어보자면, 최근까지는 메모리를 별로 신경 쓰지 않고 개발을 많이 하고는 했습니다. 하지만 여러 프로젝트를 경험하며, 사용한 Texture, Audio, Mesh, Video 등 다양한 Resource에 대한 최적화를 해두지 않으면 적은 메모리를 가지고 있는 디바이스에서 앱이 구동되지 않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텍스쳐 하나하나, 오디오 하나하나가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고 이 주제에 대해 한번 알아보고자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Unity에서 메모리란?게임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처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컴퓨터 메모리, 이 메모리 안에는 위에..

Unity 2025.01.12

Unity Localization (2)

이번 시간에는 Unity Localization을 Google Sheets를 연동하는 방식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이전 글에서는 Unity Localization은 무엇인지, 간단하게 다국어를 지원하는 것을 해보았는데요. 다국어 언어들을 Google Sheets에서 관리하고 Unity는 Sheets의 데이터를 받아서 언어별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이전 게시글을 확인하여 Localization의 초기 세팅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https://develophyun.tistory.com/1 Unity_Localization이번 시간에는 Unity에서 다국어 지원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다국어 지원이란, 하나의 게임이 여러 언어로 플레이할 수 있도록 번역 및 현지화된 인터페이스, 텍스트, ..

Unity 2025.01.04

Unity Addressable Asset (4)

오늘은 최종적으로 Addressable Asset을 Remote 서버에 Build 해서 업로드하고, 해당 Build 된 Addressable Asset을 Load 하여 Runtime에 Prefab을 생성하는 것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먼저 Addressable Asset Group을 Build Load 모드를 변경합니다.내가 선택한 Group의 Build or Load 방식을 Remote, Local을각각 지정할 수 있고 이 옵션은 Addressable Group 별로 지정이 가능하다. Load Path와 Remote Path를 지정하는 것에 대해 다시한번 설명하자면, Addressable Profile에서 추가 설정을 하면 됩니다.Remote Build, Load Path를 지정해주고, Addressab..

Unity 2025.01.02